contents go

KDI - Korea Development Institute

KDI - Korea Development Institute

SITEMAP

HOT ISSUE

Research Monograph Strategy for East Asian Integration (Ⅲ): Deepening and Enlargement of Regional Cooperation and New Challenges December 31, 2012

표지

Series No. 2012-11

Research Monograph KOR Strategy for East Asian Integration (Ⅲ): Deepening and Enlargement of Regional Cooperation and New Challenges #Global Economy and Economic Crisis #Trade
DOIhttps://doi.org/10.22740/kdi.rm.2012.11 P-ISBN978-89-8063-702-7

December 31, 2012

  • KDI
    Hongtack Chun
  • KDI
    Myung-ho Park
  • KDI
  • KDI
  • KDI
    Yeong-seop Rhee
  • KDI
  • KDI
Summary
Ⅰ. Purpose
Korea’s housing market in the 2000s has seen a couple of ongoing structural changes rendering the market framework. First, as chronic shortage of supply has been somewhat solved (at least on a nationwide basis), the expectation for a rise in house prices resulting from the mismatch between supply and demand is projected to weaken. Second, urban population which soared between 1970 and 1999 (40%→80%) posted little change at around 81% since 2000. Additionally, the scheduled relocation of government offices outside the capital region will lead to slowing the pace of concentration of population and economic activities in the capital region. Third, as the market for housing finance and real estate development financing grew, the role of institutional finance has increased. Accordingly, financial inclusion has broadened to cover more marginal borrowers, but at the same time the need to manage system risks—loan volatility spreading to macroeconomy—in an appropriate manner has risen as well. Fourth, changes in demographic and social structure resulting from low birth rate, population aging and small family trends have demanded a change in the types of housing. In the past, most of the supplied apartments were targeting a household with four members, but in the future, rental and self-owning houses will offer more variety in formats and styles. Lastly, the global financial crisis that started in the US and Europe between 2007 and 2009 has served as an opportunity for Korea to look back on issues and policies as to real estate market stabilization and housing welfare for mediumand low-income classes. This study aims to outline implications that the global financial crisis has brought to Korea’s housing sector which is presently undergoing several structural changes, such as reduced shortage of house supply, expanded institutional housing finance and changing demographics and social structures, and then to seek for a new paradigm for housing policy. The final paper includes 16 theses under six chapters including the introductory chapter, and its key policy implications are discussed under three categories below.
Contents
발간사
요 약

제1부 동아시아 통합과 세계경제

제1장 지표 분석을 통해 본 동아시아 통합 분석
 제1절 동아시아 통합연구의 진행과정
 제2절 지표체계의 구성
 제3절 지표 분석을 위한 방법론
  1. 정규화
  2. 가중치의 부여
  3. 결측치의 조정
 제4절 지표 분석
  1. 분석 국가의 위상
  2. 경제분야
  3. 삶의 질 분야
  4. 환경분야
  5. 정치⋅외교⋅행정 분야
  6. 문화분야
 제5절 결 론
 참고문헌

제2장 지역생산망 접근을 통한 동아시아 경제통합
 제1절 EU, NAFTA 및 동아시아 지역의 생산네트워크 현황
 제2절 생산네트워크와 지역무역협정
  1. 실증분석모형
  2. 데이터
 제3절 분석 결과
 제4절 생산네트워크의 심화와 생산성
 제5절 생산네트워크 강화와 동아시아 FTA의 경제적 효과
 제6절 결 론
 참고문헌

제2부 동아시아 경제통합의 확대와 심화

제3장 동아시아 경제통합과 아세안
 제1절 서 론
 제2절 아세안 역내 경제협력
 제3절 아세안과 한⋅중⋅일
  1. 아세안 경제 개관
  2. 아세안과 한⋅중⋅일 3국 간 교역 및 경제협력
 제4절 동아시아 경제통합과 아세안
  1. 동아시아 경제통합에 대한 아세안의 입장
  2. 아세안의 동아시아 경제통합 참여 가능성
  3. 아세안 참여에 대한 한⋅중⋅일 3국의 입장
 제5절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제4장 동아시아 지역협력의 제도화
 제1절 지역협력의 제도화: 제도화의 두 가지 경로
 제2절 동아시아 지역협력체의 제도화 현황 분석
  1. 동아시아 지역협력체의 제도화 특징
  2. 주요 동아시아 지역 협력체의 특징 분석
 제3절 동아시아 협력의 제도화 전략
 참고문헌

제3부 동아시아 통합과 새로운 도전

제5장 세계경제 시나리오와 한국의 대응
 제1절 서 론
 제2절 지역주의 확산과 세계경제에 대한 파급효과
  1. 지역주의와 다자주의의 공존
  2. 지역 간⋅대륙 간 통합 움직임의 대두
 제3절 지역주의 심화에 따른 세계경제의 시나리오
  1. 시나리오 설정을 위한 기본 가정
  2. 세계경제의 향후 시나리오
 제4절 한국의 전략적 선택
  1. 동아시아 지역주의에 대한 한국의 전략적 선택
  2. 시나리오 전개에 대한 한국의 전략적 선택
 제5절 결 론
 참고문헌


제6장 동북아 경제협력과 남북한 경협의 연계
 제1절 서 론
 제2절 동북아와 북한의 시각 분석
  1. 동북아 협력관점에서 보는 북한
  2. 지역경제협력에 대한 북한의 시각
 제3절 동북아와 북한의 경제관계 현황
  1. 무 역
  2. 투자 및 경제협력
  3. 북한 대외경제교류의 주요 특징
 제4절 동북아 경협을 활용한 남북한 경제협력방안 모색
  1. 개 요
  2. 무역협력 논의와 연계된 방안
  3. 통화금융협력 논의와 연계된 방안
  4. 기타 지역경제협력과 북한 연계방안
 참고문헌

제7장 요약 및 결론
 제1절 동아시아 통합 구상
  1. 동아시아 경제통합 여건 분석
  2. 동아시아 통합을 위한 구상
  3. 통합전략의 실증적 근거
  4. 동아시아 통합을 위한 한국의 역할
 제2절 한국⋅중국⋅일본 간 분야별 협력 심화방안
  1. 정부 간 협력 현황과 정치⋅외교 분야 협력방안
  2. 통화금융분야 협력 현황과 확대방안
  3. 교육분야 협력 현황과 확대방안
  4. 문화분야 교류⋅협력 현황과 확대방안
  5. 환경분야 협력 현황과 확대방안
 제3절 동아시아 경제통합에 대한 각국의 시각
  1. 일본의 시각
  2. 중국의 시각
  3. 아세안의 시각
 제4절 동아시아 경제통합을 위한 제도화
 제5절 동아시아 경제통합의 주변환경과 대응과제
  1. 동아시아 지역주의 확산의 파급효과와 한국의 대응
  2. 동북아 경제협력과 남북한 경제협력의 연계
 제6절 결 론
  1. 동아시아 지역통합을 위한 단계적 접근
  2. 동아시아 지역통합을 위한 의지와 리더십
 참고문헌

ABSTRACT
related materials ( 10 )
  • Key related materials
Join our Newsletter

World's Leading Think Tank, Korea Development Institute

Security code

We reject unauthorized collection of email addresses posted on our website by using email address collecting programs or other technical devices. To access the email address, please type in the characters exactly as they appear in the box below.

captcha
KDI Staff Information

Please enter the security code to prevent unauthorized information collection.

KDI Staff Information

Please check the contact information.

OK
KDI Staff Information

Please check the contact information.

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