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비타당성조사보고서 국립경주극장 건립사업 2002.08.31

Series No. 2002
2002.08.31
- 국문요약
-
(1) 사업의 개요
□
목적 및 기대효과
- 문화혜택에서 소외된 경남‧북지역 1,000만 시민의 문화욕구를 충족시키고 지방과 중앙사이의 문화격차를 해소하여 문화예술의 균형발전을 도모.
□ 사업계획 내용
사업지
사업내용
사 업 비
사업기간
시행주체
재원조달
경주시 세계문화엑스포
행사장 부지
(경주시 천군동 130번지
일대와 주변지역)국립경주극장 건립
(지하2층, 지상3층,
연건평15,500 m2)569억원
2003~2006
문화관광부
국립중앙극장전액국고
(2) 분석결과
□
정책적 분석결과
- 문화예술과 공공지원의 타당성 평가
- 문화예술은 공공재적 성격이 강하고 외부편익이 커서 국가의 개입 및 지원의 당위성이 인정되는 분야임.
- 국립극장의 역할과 편익
- 국립경주극장은 문화민주주의 실현의 도구로써의 역할뿐 아니라 예술창작의 중심 및 공연예술의 전략적 문화사업의 측면에서 타당성이 인정됨.
- 아울러 국립경주극장은 국제적 역사문화의 도시인 경주의 자긍심을 제고하고, 문화관광을 강화하며 공연전문 인력을 양성한다는 측면에서 국가적 편익이 인정됨.
- 건립 및 운영계획의 타당성
- 현재 경주 엑스포 공원 옆의 주차장으로 결정되어 있는 건립후보지에 대한 재조정이 필요한 것으로 평가.
- 현재 국립중앙극장과 유사한 형태의 인력구조계획을 창작개발 및 마케팅을 담당할 인력을 보강하는 형태로 전환하고, 당분간 유지하지 않기로 한 전속단체 운영에 대한 계획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음.
□ 경제성 평가결과
순현재가치 (NPV)
내부수익률
B/C 비율(%)
-32,410 (백만원)
계산불가
0.56
□재무성 분석결과
구 분
분석결과
비 고
순현재가치
편익비용비
내부수익률
보조금 미포함시
-63,660백만원
0.09
계산불가
보조금 포함시
-43,273백만원
0.38
계산불가
30년간 75,925백만원 보조
(3) 종합평가 및 정책제언
□
본 사업은 우리나라의 대표적 역사도시이며 관광도시인 경주시에 수준높은 공연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공연예술 수준의 향상, 지역간 문화격차해소, 공연산업활성화 및 이에 따른 지역경제기여, 관광산업 활성화 등의 측면에서 사업추진의 타당성이 인정됨.
□
그러나, 현재까지 제시된 국립경주극장 건립계획(안)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신중한 검토가 요구됨.
- 공연장 운영계획에 관한 지방예술계와의 갈등 대두가능성
- 연간운영비 적자 보전안 미비
- 국립극장의 전국 네트워크화를 포함한 장기문화예술 정책 방향과 연계된
국립경주극장의 위치 설정 미흡
- 극장건립의 성과를 갸름할 향후 운영계획 (인력구조, 공연시스템 등)이 부족
□
따라서 이러한 사항들이 보완된 후 재추진할 것을 제안함.
- 목차
-
요 약
제I장 국립경주극장의 건립개요
1. 사업의 배경과 목적
2. 추진경위
3. 사업개요
제Ⅱ장 정책적 분석
1. 문화예술과 공공지원
2. 국립극장의 역할과 편익
3. 국립경주극장 건립 및 운영계획 분석
4. 정책적 분석의 결론
제Ⅲ장 경제성.재무성 분석
1. 국립경주극장 수요추정
2. 객단가의 추정
3. 비용의 추정
4. 경제성 및 재무성 분석 결과
5. 민감도분석 결과
제Ⅳ장 종합평가
부록 A. 국제적 수준의 예술상품의 창작, 생산
부록 B. 국립경주극장 건립사업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부록 C. 국립경주극장 건립사업 AHP분석 결과
더 자세히 알고 싶으면?
- 주요 관련자료
- 같은 주제자료

한국개발연구원의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 : 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 담당자
- 미디어운영팀윤정애 전문연구원 044-550-4450
무단등록 및 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소중한 의견 감사드립니다.
잠시 후 다시 시도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