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경제위기이후 한국경제구조변화의 분석과 정책방향 2006.12.31
- 목차
-
제1부 소비투자ㆍ수출부문
제1장 서 론
제2장 가구소득의 분포특성을 이용한 총소비함수의 추정
제1절 서 론
제2절 총소비함수의 도출
제3절 총소비함수의 추정: 분기 자료
제4절 외환위기 전후의 비교
제5절 맺음말
제3장 수익변동성 확대와 설비투자 위축
제1절 서 론
제2절 기존 연구개관
제3절 기업의 수익변동성 변화추이
제4절 기업의 수익변동성과 투자
제5절 결론 및 시사점
제4장 우리나라와 여타 외환위기 경험국가들의 고정투자
제1절 서 론
제2절 기존 연구
제3절 가 설
제4절 자료와 변수
제5절 실증분석 결과
제6절 결론
제5장 환율과 수출가격의 구조변화
제1절 서 론
제2절 기초자료 분석
제3절 환율전가율의 추정
제4절 환율전가율 하락의 원인에 대한 추론
제5절 결 론
제2부 노동시장, 분배
제6장 중국의 부상이 우리나라 노동시장에 미친 영향
제1절 서 론
제2절 중국의 부상과 우리나라 경제환경의 변화
제3절 중국 효과의 파급경로 및 효과추정
제4절 요약:전망과 과제
제7장 임시ㆍ일용직 증가현상에 대한 고찰
제1절 서 론
제2절 임시ㆍ일용직 근로자 현황 및 선행연구
제3절 임시ㆍ일용직 근로자 증가에 대한 고찰
제4절 요약 및 결론
제8장 경제위기 이후 고용상황과 기술변화
제1절 서론
제2절 고용상황 변화의 특징적 현상들
제3절 노동수요와 노동공급
제4절 기술변화와 고용
제5절 결 론
제9장 1996~2000년 가구소득불평등 확대요인 분해: 임금, 고용, 근로시간, 가구구조 변화의 효과
제1절 머리말
제2절 소득불평등도 변화의 분해방법
제3절 자료와 추정방법
제4절 가구소득 구성요소의 변화
제5절 소득불평등도 확대요인 분해결과
제6절 결론과 시사점
제3부 산업구조 변화 및 생산성
제10장 중국 및 선진국으로부터의 수입경쟁과 1990년대 이후 국내 사업체의 요소집약도별 성장패턴
제1절 서 론
제2절 1990년대 이후 수입경쟁구조의 변화
제3절 기본 회귀분석 결과
제4절 추가적 분석 및 논의
제5절 요약 및 결론
제11장 미시데이터에 근거한 1990년대 이후 한국경제의 산업생산성 추이 분석
제1절 서 론
제2절 제조업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의 계산과 분해
제3절 제조업과 서비스업 노동생산성의 국제비교
제4절 노동생산성의 업체별 불균등도
제5절 결 론
제12장 1990년대 이후 한국경제 구조변화의 특징
제1절 서 론
제2절 교역구조를 중심으로 살펴본 1990년대 경제환경의 변화
제3절 산업구조 변화의 특징
제4절 제조업과 서비스업 내 구조변화
제5절 결 론
제13장 요약 및 종합
더 자세히 알고 싶으면?
관련 자료 ( 9 )
- 주요 관련자료
- 같은 주제자료

한국개발연구원의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 : 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 담당자
- 미디어운영팀윤정애 전문연구원 044-550-4450
보안문자 확인
무단등록 및 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KDI 직원 정보 확인
등록완료
소중한 의견 감사드립니다.
등록실패
잠시 후 다시 시도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