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연구시리즈 소득격차와 코로나19의 영향 2022.12.31
Series No. 2022-09
- 국문요약
-
본 연구는 코로나19 기간을 포함하는 분석기간 동안의 가구 단위 소득격차 추이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두 가지 방향에서 분석한다. 첫 번째로, 전반적인 가구 단위 소득격차 추이를 살펴보고, 이에 대해 기저에서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고령화, 가구규모 축소, 맞벌이 확대 등 가구특성 요인들을 분석한다. 소득분위별 비교를 토대로 소득격차 추이를 살펴보면, 중/고 소득분위 대비 저소득분위의 상대적인 시장소득 하락을 통해 시장소득 기준 소득격차가 확대되고 있다. 특히 최근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고령화 및 가구규모 축소가 중/고 소득분위와 저소득분위 간의 시장소득 격차를 확대시켰다. 이러한 가구특성의 분포 변화가 통제되는 경우 시장소득 격차는 오히려 축소되는 추이를 보였다. 또한 최근의 50대 이상 가구주 가구의 맞벌이 비중 증가는 시장소득 기준 소득격차를 뚜렷하게 축소시켰다. 반면, 처분가능소득 기준 소득5분위배율은 시장소득과 달리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가구특성이 미치는 영향도 훨씬 작게 관찰된다. 이는 공적이전 소득/지출이 가구특성 변화에 따른 시장소득 기준 소득격차 확대를 보완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두 번째 분석으로 코로나19가 소득 및 소비에 미친 영향을 소득계층별로 살펴봄으로써 코로나19 위기 시 노동소득 충격이 소득격차 및 실제 가구경제에 미친 영향을 파악한다. 분석 결과, 2020년의 위기 시와 2021년의 회복기간 동안 노동소득 추이가 저소득가구를 중심으로 상반되게 관찰되었다. 2020년에는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하여 저소득가구를 중심으로 노동소득 증가율이 뚜렷하게 감소한 반면, 2021년에는 저소득가구를 중심으로 큰 폭으로 확대되어 뚜렷한 회복세를 보였다. 노동소득에 정부의 현금지원을 합산한 소득 기준 분석 결과는 현금지원의 성격에 따라 크게 상이하다.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제공된 한시적 지원은 노동소득 충격을 크게 보완한 반면, 기존 지원제도의 현금지원을 합산한 소득 기준으로는 노동소득만 고려한 분석 결과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이는 2020년 코로나19 위기 시의 한시적 지원은 노동소득 충격에 적극 대응할 수 있도록 역할을 한 반면, 기존 현금지원제도는 코로나19에 따른 경제적 어려움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한 한계가 뚜렷하였음을 보여준다. 소득충격이 소비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면, 2020년에 전체 소비지출 증가율이 저소득가구와 고소득가구에서 코로나19 이전 대비 큰 폭으로 감소하였는데, 소득계층별로 영향을 받은 소비지출 항목이 상이하였다. 소비증가율 감소폭이 저소득가구에서는 주로 식료품비, 교육비, 의료비에서, 고소득가구에서는 오락/문화비 및 교육비에서 각각 크게 나타났다. 노동소득의 회복세가 관찰된 2021년에도 다른 지출항목과는 달리 오락/문화비와 교육비 증가율의 감소가 지속적으로 관찰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몇 가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우선 인구구조 고령화가 심화됨에 따라 구조적으로 시장소득 기준 소득격차가 더욱 확대될 수 있으며, 향후 소득격차 추이 해석에 있어 이러한 인구구조 변화를 반드시 고려할 필요가 있다. 두 번째로 가구 내 취업자 증가는 소득격차 완화의 중요한 통로이며, 저소득가구에서 추가적인 취업자가 확보될 수 있도록 취업을 저해하는 요인들을 해소하는 정책적 지원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코로나19 위기와 같은 급작스러운 위기뿐 아니라 코로나19로 더 가파르게 진행되고 있는 기술혁신, 기후변화 대응 등에 따른 노동시장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경제적 어려움에 반응하는 사회안전망의 경기대응 기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 영문요약
-
This study analyzes trends in household income distribution in South Korea during the period encompassing the COVID-19 pandemic 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come disparities from two perspectives. First, it examines overall trajectories in household income distributions, focusing on underlying factors with persistent effects, such as population aging, reduction in household sizes, and increase in dual-income households―important household characteristics that influence these trends. Analysis of household income distribution trends through income quintile comparison reveals a widening income gap by market income criteria, notably driven by a decline in market income among lower-income brackets relative to middle and high-income brackets. Particularly, rapid aging and shrinking household size have significantly widened the income gap between the lower-income brackets and the wealthier ones. However, when changes in household characteristics are controlled, the market income gap shows a trend of narrowing. Additionally, the recent increase in the share of dual-income households among those headed by individuals aged 50 and older has markedly narrowed the income disparity based on market income. In contrast, the quintile share ratio based on disposable income has continued to decrease, with much smaller impacts observed from household characteristics, suggesting that income and expenses from public transfers have mitigated the growing income gap caused by changes in household characteristics.
Second, the impact of COVID-19 on income and consumption is investigated by income strata, identifying how the labor income shock during the COVID-19 crisis affected income inequality and the actual household economy. The findings indicate opposing trends in labor income among low-income households: during the crisis in 2020, the growth rate of labor income for low-income household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pre-COVID-19 period, whereas in 2021, it increased substantially, exhibiting a clear recovery trend. The effects of government cash assistance on income, when combined with labor income, varied greatly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support. Temporary support provided in 2020 in response to COVID-19 significantly compensated for the labor income shock, demonstrating its effectiveness. In contrast, traditional cash support, similarly evaluated in conjunction with labor income, did not significantly alter the outcomes compared to those based solely on labor income, indicating their limited capacity to address the economic difficulties caused by COVID-19. In addition, the analysis of the impact of income shocks on consumption reveals that in 2020, the overall rate of increase in consumer spending decreased significantly for both low and high-income households compared to the period before COVID-19, with different consumption items affected by income strata. The decline in consumption growth rate was particularly noticeable in food, education, and medical expenses for low-income households, and in entertainment, culture, and education expenses for high-income households. Despite the recovery in labor income observed in 2021, the decrease in the growth rates for entertainment, culture, and education expenses continued.
These findings suggest several policy implications. First, as the aging of the population structure intensifies, income disparities based on market income are likely to widen, underscoring the need for future interpretations of income disparity trends to consider these demographic changes. Second, as increasing employment within households represents a crucial pathway to mitigating income disparities, policy support is required to remove barriers to employment, especially in low-income households. Lastly, in response to unforeseen crises like the COVID-19 pandemic, as well as shifts in the labor market landscape, such as pandemic-accelerated technological advancements and climate changes, it is advisable to strengthen the counter-cyclical functions of social safety nets to effectively cope with economic difficulties.
- 목차
-
발간사
요 약
제1장 서 론
제2장 가구 단위 소득격차 추이
제1절 가구 소득격차 추이
제2절 가구특성 변화가 소득격차에 미친 영향
제3장 코로나19에 따른 소득격차
제1절 코로나19 전후 소득 및 소득분배지표 추이
제2절 코로나19가 소득격차에 미친 영향
제4장 결론 및 정책제언
제1절 연구 결과 요약
제2절 정책제언
참고문헌
ABSTRACT
더 자세히 알고 싶으면?
동일 주제 자료 ( 9 )
- 주요 관련자료
한국개발연구원의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 : 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보안문자 확인
무단등록 및 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KDI 직원 정보 확인
KDI 직원 정보 확인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044-550-5454
등록완료
소중한 의견 감사드립니다.
등록실패
잠시 후 다시 시도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