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자 2022년09월21일(수)
- 시간 9:30~16:50
- 장소 더 플라자 호텔, 서울 | 하이브리드 컨퍼런스 (생중계 스트리밍)
- 주최 기획재정부, 한국개발연구원

모리스 옵스펠드
-
[기조강연] Monetary Policy Coordination: 2022 versus 1982
-
[1-1] Global Outlook and Risks
-
[1-2] Policy Responses to Rising Macroeconomic Challenges
-
[1-3] Fiscal and Debt Sustainability Issues and Challenges
-
[1-A] High Inflations and Monetary Policy
-
[1-B] CAPITAL FLOWS: RECENT DEVELOPMENTS AND POLICY MEASURES
-
[1-C] Inflation/Output Tradeoff and the U.S. Dollar Exchange Rate
-
[2-1] Monetary Policy Spillovers after the Pandemic
-
[2-2] Geopolitics, Global Financial Safety Net, and IMF Governance
-
[2-A] Monetary Policy Spillovers after the Pandemic
-
[3-1] Future of Digital Assets in the Post-Pandemic Era
-
[3-2] FUTURE-PROOFINGTHEINTERNATIONALMONETARYSYSTEM
「2022 G20 글로벌 금융안정 컨퍼런스」가 기획재정부와 KDI 공동주최로 9월 21일(수) 서울 플라자호텔에서 개최됩니다. G20 국제금융체제 실무회의와 연계하여 개최하는 본 컨퍼런스는 ①주요국 통화긴축 가속화 및 세계경제의 위험요인, ②글로벌 금융안전망의 역할과 그 보완방향, ③글로벌 금융환경 변화와 새로운 국제금융체제의 모습 등 3가지 주제로 진행될 예정입니다.
특히 최근 주요국 통화긴축 가속화와 지정학적 리스크가 저소득국 채무상환 부담에 미치는 영향과 국제금융시장에 미칠 파급효과를 살펴보고, 글로벌 금융안전망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국제금융기구의 거버넌스 개선과 효율적인 운영방안에 대해서 논의할 것입니다.
나아가, 디지털 자산의 확산이 미래의 금융안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보고 이로인한 금융시장의 변화에 대해서 검토할 것입니다. 아울러 기후변화 등 세계경제의 당면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G20이 국제금융체제에서 발휘할 리더십에 대해서도 토의해볼 것입니다.
이번 컨퍼런스가 국내·외 석학과 G20 정책담당자들이 모여 세계경제의 위험요인을 선제적으로 진단하고 대응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지혜를 모으는 뜻깊은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 G20 금융안정컨퍼런스 아카이브 페이지 바로가기(Click)
방기선 제 1차관 l 기획재정부
고영선 원장 직무대행 l 한국개발연구원
- 담당자
- 윤정애 전문연구원yoon0511@kdi.re.kr 044-550-4450
무단등록 및 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소중한 의견 감사드립니다.
잠시 후 다시 시도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