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go

KDI - Korea Development Institute

KDI - Korea Development Institute

SITEMAP

HOT ISSUE

KDI FOCUS Improving Elementary Childcare System in Women’s Growing Economic Participation June 17, 2021

표지

Series No. No. 107, eng.

KDI FOCUS Improving Elementary Childcare System in Women’s Growing Economic Participa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June 17, 2021

  • 프로필
    Sungmin Han
|   Related information   |
아이가 초등학교에 가더니, 
예전보다 오히려 더 일찍 집에 온다고...?
초등학생 자녀를 둔 많은 부모들이 
아이를 맡길 곳이 없어 힘들어하기도 하는데요 
그래서인지 엄마들이 일을 그만두게되는 경우가 종종 있죠 
이런 일이 없도록 초등 돌봄 정책이 뒷받침되어야할텐데, 
뭐가 문제이고 어떻게 개선해야 할지 알아봤습니다! 

● 저자
- 한성민 KDI 연구위원

● 관련자료
- [KDI FOCUS] 여성 경제활동 증가에 대응한 초등 돌봄 체계 개선방안

● 관련 영상
- [KDI FOCUS] 유치원 놀이, 아이들이 달라졌다(https://youtu.be/f2WtTIUx6Qg)
- [KDI 현안분석] 코로나19, 남성보다는 여성고용에 더 큰 타격을 줬다(https://youtu.be/2xSnki1xR9U)
 
|   Script   |
아이들이 초등학교에 들어가면
일찍 하교하는 아이들을 돌볼 사람이 없어
엄마들이 일을 하기 어려워집니다.

실제로 12세 이하 아이가 있는 가정 약 30%에서 
아이를 맡길데가 없어 어려움을 겪었다고도 합니다.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초등학생보다는 영유아 위주인
돌봄정책과도 관련이 있다고 하는데요.

초등학생들을 위한 공적 돌봄서비스, 
무엇이 문제이고, 어떻게 개선해야할지 살펴봤습니다.

우선 우리나라의 초등학교 수업은 
다른 OECD 국가보다 일찍 끝납니다.

수업이 끝나고 아이들은 학원을 가거나
학교에서 제공하는 돌봄서비스인 

돌봄 중심의 돌봄교실과 
학습 위주의 방과후학교를 이용하는데요.

문제는 초등 돌봄 서비스를 활용하는게 쉽지 않다는 겁니다.

돌봄교실은 신청조건이 까다롭고,
방과후학교는 수업이 폐강되어버리거나 비는 시간이 생겨 이용하기 쉽지 않습니다.

실제로 초등학생 10명 당 약 1.3명 만이
초등 돌봄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주로 1, 2학년 아이들이
한, 두시간 돌봄교실이나 방과후학교로 시간을 보내다
3시부터는 학원에 가는 아이가 절반에 이릅니다.

초등 돌봄 서비스가 확대되고는 있지만
여성이 일을 포기하거나 자녀의 사교육 부담은 계속되고 있는데요,

초등 돌봄 서비스가 여성의 근로에 도움이 될까요?

아이를 돌봄교실과 방과후학교를 보냈던 여성들이
다음학기에 어땠는지 분석해봤더니,

방과후학교보다는 돌봄교실에 보냈던 여성들이
경제활동을 할 확률이 오르고, 근로시간도 늘었습니다.

방과후학교는 긴 시간 이용이 어려운 반면
돌봄교실은 오후 5시까지 학교에 있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이번에는 초등 돌봄 서비스가 사교육 부담까지 줄이는지 알아봤는데,

방과후학교를 이용한 경우 다음 학기 아이 학원비가 월 만5천원 줄고,
돌봄교실은 약 4만원 감소하는 효과가 있었습니다.

정규수업시간을 늘려서
초등 돌봄 공백을 해소하자는 요구도 있는데요,
그렇게 되면 아이들이 방과 후에는 
돌봄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학교에 더 오래 머무르게 될까요?

의외의 결과가 나왔는데요,

하교시간이 1시간, 2시간 늦춰질수록
돌봄서비스를 이용하기보다는
학원에 보내겠다는 경향이 나타났습니다.

이는 학교돌봄 기능 강화가 방과 후까지는 연결되지 않아,
학부모의 돌봄 부담에는 큰 변화가 없을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는데요. 

결국 학부모의 돌봄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는 
초등 돌봄 서비스의 질을 획기적으로 높이는게 중요하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저자 인터뷰 한성민 KDI 연구위원)
연구 결과에서 초등 돌봄 서비스가 여성 경제활동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확인한 만큼 이제는 초등학교에서 교육과 함께 보육기능도 조금 더 강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초등 돌봄 정책에 법적 근거를 마련해 제도를 정비하는 것이 시급합니다. 또한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돌봄 서비스의 양적인 확대와 더불어 질을 획기적으로 높이려는 노력이 병행되어야 합니다.
Summary
□ Despite women's growing economic participation, female employment rates vary considerably across age groups. Women in their 30~40s exhibit the lowest rates, mainly due to the lack of policy support targeting women with dependent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The Korean government has sought to address this by expanding public childcare, but problems like childcare void and high dependence on private education persist. Amid rising social demands for childcare services, taking policy actions to enhance the quality and quantity of public childcare and overhaul its legal framework is of vital importance and requires immediate attention.

- By design, Korean childcare support policy mainly targets younger children, and the relative shortage of elementary childcare services is a hurdle to economic activity for women with dependent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 Policy efforts for better elementary childcare services are vital to properly respond to women’s growing economic participation

- As elementary childcare classes focus on caring and after-school programs on learning, educational benefits among students differ.

- So far, Korea has no clear policy direction for childcare and a fragile legal foundation for elementary childcare services.

- It is important to figure out why participation in private education rapidly rises after 3 p.m. while it is low in elementary childcare classes.

- Suppose short regular school hours are extended to equip better schools as care providers and induce students to sue public childcare after dismissal. In addition to solving the lack of childcare, it may be possible to reduce dependence on private education with additional educational opportunities.

- If the discussion on increasing regular class hours is to focus on resolving the childcare gap, there should be an in-depth analysis of the use of after-school hours.

- Childcare policies in major countries have progressed in the direction of incorporating learning from supporting child's wellbeing.

- Korea’s care policy needs a proper legal basis and social consensus among stakeholders.

- When children attend elementary childcare classes, mothers are 7.8%p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economic activity and work for extra 4.7 hours per week on average, while they are 8.5%p less likely to use private education.

- On the other hand, among the users of afterschool program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were observed in terms of women’s economic participation, working hours, and the use of private institutes.

- Extended hours of the regular curriculum may not deter the use of private institutes.

- In order to achieve the intended effect of longer regular school hours, authorities need to take policy actions for a significant quality upgrade of school childcare services.

- The function of care services needs to be redefined by establishing a legal basis for operating elementary childcare classes and after-school programs within the Framework Act on Education and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 Elementary childare services need to stay open for longer hours and more applicants.

- Elementary childcare services need a quality upgrade.

- The approach of strengthening the childcare function of schools by increasing the regular school hours needs to be considered in connection with the current care policy.
related materials ( 10 )
  • Key related materials
Join our Newsletter

World's Leading Think Tank, Korea Development Institute

Security code

We reject unauthorized collection of email addresses posted on our website by using email address collecting programs or other technical devices. To access the email address, please type in the characters exactly as they appear in the box below.

captcha
KDI Staff Information

Please enter the security code to prevent unauthorized information collection.

KDI Staff Information

Please check the contact information.

OK
KDI Staff Information

Please check the contact information.

OK